2006년 4월 4일 화요일

L2,L3,L4

http://cafe.naver.com/yjk017654/221 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L2스위치, L3스위치,L4스위치 |

http://cafe.naver.com/yjk017654/221

예를 들어 A에서 보낸 팻킷이 포트 1로 들어왔다고 합시다.

그러면 L2 스위치는 포트 1에 A가 붙어있다는 정보를 얻게 됩니다.

그래서 나중에 A로 보내져야할 팻킷이 들어오게 되면 포트 1로 내보내게 됩니다.

L3의 경우는 L2와 달리 매우 넓은 범위까지 다루게 됩니다.

그래서 오가는 팻킷을 관찰해서는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L3 스위치끼리 통신을 하면서 정보를 축적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포트 1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가 여기에는 팻킷이 많이 몰린다는

내용을 보낸다면, 그 내용을 받은 스위치는 팻킷을 포트 1 대신 다른 포트로

보내게 됩니다.



L4스위치

여러대의 서버에 똑같은 컨텐츠를 탑재하는 경우는 L4에서 서버의 부하를 체크해서 가장

여유있다고 판단되는 쪽으로 보내게 됩니다.(정책이 여러개 있는데, 이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일반 기업에서 ERP서버나 업무용서버를 운영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서버별로 컨텐츠가 다르다면, L4에서 정책을 세워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오면 등록된 서비스로

보내주어서 전체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대형 포탈의 경우 이런 방식을 사용하겠죠.

그리고 대부분 DB서버는 L4를 거치지 않고 웹서버와 직접 연결시켜서 사용합니다. DB서버 분산하는게 쉽지 않기 때문에 DB를 L4에 물리는 경우는 드물죠.


세그먼트(segment)에 대해 설명드리면, 한 컴퓨터에서 발생한 신호가 수신자에 상관없이 전달되는 범위를 말합니다. 즉, 내 컴퓨터에서 자료를 보내려고 신호를 내보내면 이 신호가 일정 지역내의 모든 컴퓨터에게 전달이 되는데 그 범위를 말합니다. 그런데, 하나의 세그먼트에서는 동시에 2개의 신호가 전달될 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두사람이 동시에 자기 얘기만 하면 무슨소린지 모르고 충돌이 발생하듯이 하나의 세그먼트 내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면 충돌이 발생합니다.
그럼, 여기서 한가지 생각해 보시면, 하나의 세그먼트가 컴퓨터 1000대로 구성이 되어 있다고 보면 1000대중에서 내 컴퓨터가 자료를 보내려고 하면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고, 충돌이 자주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세그먼트를 분리시키고자 등장한 장비가 브리지(스위치는 브리지를 개량한 장비)입니다.
브리지(bridge)는 한마디로 요약하면 세그먼트를 분리시켜주는 장비입니다. 예를 들면 1000대의 컴퓨터를 100대씩 묶어서 10개의 세그먼트을 만들어 주는 장비 입니다. 이렇게 분리된 세그먼트에서 자료 교환을 중재하는 역할을 브리지가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1에 있는 컴퓨터가 세그먼트1에 있는 컴퓨터로(즉, 같은 세그먼트)데이터를 전송하면 이 신호가 다른 세그먼트에 전송이 되지 못하도록 신호를 차단하구요, 세그먼트1에서 세그먼트2로 데이터를 보내면 브리지가 이 신호를 받아서 세그먼트2로 보내줍니다. 이렇게 하면 세그먼트가 분리되어서 컴퓨터끼리 자료 교환하는데에 충돌이나 기다림(병목현상?)이 줄어들겠지요.
이제, 스위치와 라우터에 차이점을 설명 드리면.. 세그먼트를 분리시킨다는 의미에서는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차이점은.. 어떤걸 기준으로 분리를 시키느냐 입니다.
스위치에 여러가지 포트(하나의 포트를 하나의 세그먼트로 보셔도 될겁니다.)가 있는데, 각 포트에 어떤 컴퓨터가 연결이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 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LAN카드 번호 입니다. 이 번호는 공장에서 나올때부터 고유하게 지정된 번호로써 전세게 LAN카드가 다 다른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위치는 이 번호를 가지고 스위치 장비 내부에 '표'를 하나 만들어 놓고, 포트1에는 어떤 MAC주소가 있으며, 포트2에는 어떤 MAC주소가 있는지 적어 놓습니다. 그래서, 이 표를 기준으로, 스위치로 들어오는 신호를 읽어 들여서 같은 포트의 MAC주소를 목적지로 하고 있으면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다른 포트의 MAC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가지고 있으면 그곳으로 연결 시켜 줍니다.
라우터는 세그먼트를 구분하는 기준이 IP입니다. 라우터도 내부적으로 표를 만들어 놓는데 기준이 IP입니다. 따라서, 라우터로 들어오는 신호를 읽어들여서 목적지가 같은 포트(즉, 같은 세그먼트)의 IP이면 다른 포트로 신호를 보내지 않으며 다른 포트의 세그먼트의 컴퓨터가 목적지 IP이면 그 포트로 연결시켜 주는 역활을 합니다.
라우터의 역할을 보시면 알겠지만, IP를 기준으로 세그먼트를 나눕니다. 그래서, 인터넷과 독립적으로 LAN을 구축할 경우 라우터는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연결시켜서 LAN을 구축할 경우 반드시 필요한 장비가 라우터 입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