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월 26일 수요일

XP에 관심이 있다면 읽어 보아야 할글

2년간 XP로 개발 5가지 정도 프로젝트를 수행 해왔다.
우연히 이 글을 읽게 되었는데 느끼는 점이 참 많다.
현실상황이 이렇게 되지 않는 다고 외면 하지만 말고 도전해 보자.
http://xper.org/wiki/xp/XpDiary
http://www.xprogramming.com/xpmag/xpdiary.htm

2005년 1월 24일 월요일

27時間勤務スタト

27時間勤務開始。
本番でのシステムテスト以前にShellをけんしょうするため午後5時に出勤。
9時間が過ぎた。
目がいたい。

2005년 1월 22일 토요일

영어 컴플렉스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일본 과 연을 맺은지도 6년 에 접어든다.
히라가나조차 전부 쓸수 없었던 상황에서 감행한 어학연수
어줍지 않은 일본어 실력과 1년 일본 어학연수로 떨어진 토익점수로
원하는 회사에 취업을 하지 못해 방황하다 선택한 일본취업
언제 끝날지 모르는 일본 생활

일본에서 영어에 대한 장벽을 느끼는 지금..
올해는 이걸 극복하고 싶다.

2005년 1월 21일 금요일

프로젝트 종반

2월7일 유저 릴리스 ..
토요일 출근하고 일요일 오후출근해서 월요일 밤에 퇴근 하게 생겼다.PM에게 미리미리 테스트 할수 있는 환경을 2달 전부터 요구했는데..결국은 아무런 준비도 해주지 않았다.
27시간 근무..
괴롭다.

2005년 1월 20일 목요일

2004년을 사는 개발자를 위한「경력관리 로드맵」

자바지기 님에 사이트 에 게시된 글 이다.
개발자로써 살아간다는것.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가치관 확립.
어떻게 나아 가야 할것인가.
느끼고 생각하는 그리고 실천하는 힘
많은걸 느끼게 하는 글이다.

원문
http://www.zdnet.co.kr/techupdate/trend/0,39024505,39131905,00.htm

vi command

http://www.maruhosting.com/new_manual/hosting02.htm

마루 호스팅 사이트에서

VI 프로그램의 위치
$ which vi

/usr/bin/vi
/usr/ucb/vi
/bin/vi

VI를 이용한 화일 열기

# vi
: e test.txt

# vi test.txt

========= 명령모드 ==========================================


편집모드

i - 커서앞에 텍스트 삽입
a - 커서뒤에 텍스트 삽입
o - 현재 행 아래에 텍스트 삽입

텍스트 교체

r - 한 글자만 교체
R - 커서가 있는 자리부터 여러문자 교체


커서이동

←, h,
↓, j
↑, k
→, l

신속이동

w - 오른쪽으로 특수문자 혹은 한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b - 왼쪽으로 특수문자 혹은 한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W - 오른쪽으로 한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B - 왼쪽으로 한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한 행 안에서의 이동

0 (숫자) - 행의 맨 처음으로 이동
$ - 행의 맨 마지막으로 이동

페이지 이동

G - 문서의 맨 끝 행으로 이동
nG - nqjsWo 행으로 이동
C-f - 한페이지 아래로 이동
C-b - 한페이지 위로 이동

삭제명령

dw - 한 단어 삭제
dd - 한 줄 삭제
D - 커서부터 행 끝까지 삭제
x - 한 글자 삭제

숫자와 명령의 조합 예제

10j - 10줄 위로 이동
10x - 10글자 삭제
5dd - 5줄 삭제

복사 & 붙여넣기

x, dw, dd, D → p - 커서 뒤에 임시 버퍼내용 추가
x, dw, dd, D → P - 커서 앞에 임시 버퍼내용 추가

텍스트 복사

yw - 한단어 복사
y$ - 커서부터 행끝까지 복사
yy - 한줄 모두 복사

텍스트 탐색

/ - 전방 탐색
? - 후방 탐색
n - 같은방향으로 탐색 계속
N - 반대방향 탐색 계속
/  - 전방탐색 계속
?  - 후방탐색 계속

행 번호 붙이기

:set nu
:set nonu - 번호 없애기

특정 행 번호로 이동

:1 - 1번째 행으로 이동
:$ - 마지막 행으로 이동
:$= - 현재 문서의 총 줄(행)수
:.= - 현재위치의 행번호

범위 지정

v

:1,10d - 1번행부터 10번행가지 삭제(d)
:.,$d - 현재부터 마지막 행까지 삭제
:0,$-4d - 파일의 맨처음(0- 가상번호)부터 끝까지 삭제하되 4는 제외
:.-1,.+1y(:.-,.+y)(:-,+y) - 현재 행을 기준으로 아래위 3행을 복사
:0,$y - :%y - 모든 행 복사

일부분 저장

:1,.w part1.txt - 1행부터 현재 행까지 part1.txt 라는 이름으로 저장
:1,.w >>part.txt - 1행부터 현재 행까지를 part.txt 파일에 추가

다른파일 내용 (읽기) 삽입

:r insert.txt - 커서위치 아래에 insert.txt 파일을 추가
1r insert.txt -
0r insert.txt -

텍스트 검색 및 교체

:범위s/찾는문자열/교체할문자열/옵션
:%s/girl/woman/g (※ g - global)
:0,.s/^/>> /g - 맨 처음부터 현재행에 대하여 행의 맨 앞에 >>를 붙임 (※ ^ 는 가상의 맨 앞)
:.-3,.+5s/$/<
※ . - 현재 행 ^ - 가상의 맨 처음 $ - 가상의 맨 처음 % 현 문서 전체

텍스트 검색 및 치환

/찾는문자열
- 파일내에서 찾는 문자열을 찾아 커서가 이동한다.(아래방향으로)
?찾는문자열
- 파일내에서 찾는 문자열을 찾아 커서가 이동한다.(위로 향하여)
n
- "/찾는문자열"을 입력후 다음찾기할때(아래방향)
N
- "/찾는문자열"을 입력후 다음찾기할때(위방향)

:s/찾는문자열/치환문자열
- 현재 커서가 놓여 있는 행에서 첫번째로 검색된 특정문자열 바꾸기:1,10s/찾는문자열/치환문자열
- 1행부터 10행사이에 걸쳐 첫번째로 검색된 특정문자열 바꾸기
:%s/찾는문자열/치환문자열
- 모든행에 걸쳐 첫번째로 검색된 특정문자열을 바꾸기

특수문자가 들어간 문자열의 교체

:%s//usr//usr/local/g - /usr를 찾아서 /usr/local 로 교체
※ (역 슬래쉬) 특수문자(/)의 해석방지


외부 유닉스 명령어 실행

:!명령
:sh -
:r :ls - 유닉스 명령의 실행 결과 화면을 현재 편집중인 내용에 불러들임

필터와 명령

:%!tr [a-z][A-Z] - 전체 텍스트의 영문자를 대문자로 치환
:%!sort - 정렬


========= 명령모드 ==========================================

명령모드에서 벗어나 편집모드로 진입하기(입력모드)

i : 커서가 놓여 있는 위치의 문자를 밀어내고 삽입된다.
a : 커서가 놓여 있는 위치의 문자뒤에 삽입된다.
o (소문자 o) : 현재행의 아래행을 밀어내고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O (대문자 O) : 현재행을 한줄 아래로 밀어내고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입력모드 와 삽입모드를 습관적으로 변환하기

입력모드 : ESC - 명령모드(이동,삭제,검색,치환,저장,종료,열기)
명령모드 : i,a,o,O - 삽입모드(입력)

VI 방식의 종료와 저장, 새이름으로 저장

:q - 저장하지 않고 vi 종료하기
:q! - 강제 종료
:w - 현재내용을 저장
:w! - 읽기전용인 파일을 수정후 강제로 저장할때
:wq - 저장하고 종료
:wq! - 읽기전용인 파일을 수정후 강제로 저장하고 종료하기
:w 새파일명 - 새이름으로 저장

VI 환경설정

:set number : 행번호 보이게
:set nonumber : 행번호 안보이게
:set autoindent : 들여쓰기 설정
:set noautoindent : 들여쓰기 제거
:set list : 문단,조판부호 보기
:set nolist : 문단,조판부호 안보이게
:set window=30 : 한 화면당 행의 갯수 30개로 지정
:set ignorecase : 검색시 대소문자 구별 제거
:set noignorecase : 검색시 대소문자 구별
:set all : 현재 설정된 vi 모든 설정값 보기

2005년 1월 19일 수요일

느슨해진 자신을 추스려 보는 방법

느슨해진 자신을 추스려 보는 방법

1.더욱더 느슨해져 본다.
2.전혀 새로운 분야에 책을 산다.(IT관련서)
3.짧은 여행을 떠나 본다.
4.동종분야에 잘나가는 사람에 근황을 살펴 본다.
5.자격시험 원서를 제출 한다.
6.치밀하게 미래에 계획을 세워본다.

일본 dev2dev 사이트 문서 모음

초급과 중급에 분류기준이 모호하기는 하지만..

예전부터 Tuxedo 관련 관심이 많았었는데..
문서라도 읽어 봐야 겠다.

초급?
http://www.beasys.co.jp/dev2dev/resourcelibrary/newjava/products_tutorial.html
중급?
http://www.beasys.co.jp/dev2dev/resourcelibrary/newjava/higher.html

2005년 1월 18일 화요일

3번째 모임

회사 설립에 가장 열정적인 었던 형님이 한국으로 돌아 가시게 되었다.(역시 새상일은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닌가 보다.)

형님께 너무 의존하고 있었나 보다..라는 반성도 하게 되었다.

작년에 한국으로 돌아 가신 분이 회사를 설립하셨다.
부럽기도 하고 지금 내가 서 있는 위치를 돌아 보고 정리 해야 겠다는
새로운 의욕도 생겼다.

2005년이 시작되고 18일이 지났다.
열심히 해보자..

2005년 1월 17일 월요일

오라클 DBA를 위한 유용한 5가지 유닉스 명령어

좀 오래된 듯한 감이 있기는 한 글이지만...
Unix for Oracle DBAs Pocket Reference

오라클 DBA를 위한 유용한 5가지 유닉스 명령어
2001년 03월 21일

Oracle DBAs Pocket Reference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가 알아야 할 모든
유닉스 명령어를 20년 이상 공부하고 하나로 모아 놓은 결과물이다. 컨설턴트
이기 때문에 유닉스 다이어렉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조절 방법을 강구하고 모
든 명령어를 암기해야 했는데, 정말이지 힘든 과정이었다. 여기에 Oracle
DBAs Pocket Reference에 수록되어 있는 스크립트 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5개
를 뽑아 보았다.

유닉스용 "Change All" 명령어

이 스크립트는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에서 한 문자열과 다른 문자열을 바
꿔서 검색과 교환을 실행시킨다. 유닉스 디렉토리에 수 백 개의 파일이 들어
있고 각 파일에서 ORACLE_SID를 바꾸고 싶을 때, 이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몇
초안에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 게다가 변환된 파일의 원 파일에 대한 백
업 디렉토리도 만들어 준다. 나는 이 스크립트를 이용해 수 백 시간에 걸쳐 똑
같이 수정해야 하는 작업을 하지 않을 수 있었다.
#!/bin/ksh

tmpdir=tmp.$$

mkdir $tmpdir.new

for f in $*
do
sed -e 's/oldstring/newstring/g'
< $f > $tmpdir.new/$f
done

# Make a backup first!
mkdir $tmpdir.old
mv $* $tmpdir.old/


cd $tmpdir.new
mv $* ../

cd ..
rmdir $tmpdir.new



위에 있는 for 루프로 인해 sed 명령어가 현재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에서 실
행된다. sed 명령어는 작업을 실제 검색, 교환하며 동시에 임시 디렉토리에 관
계 파일의 새로운 버전을 생성한다.

이 스크립트를 사용하려면 여기에 나타난 코드의 파일 이름을 chg_all.sh 로
바꿔야 한다. 전체를 바꾸고자 한다면, 스크립트 파일에서 이전 문자열과 새로
운 문자열을 수정하는 것부터 해야 한다. 그러면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파일
마스크에서는 인자로서 지나쳐도 된다. 예를 들어 SQL 파일을 바꿀 때는 다음
과 같은 명령을 실행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root> chg_all.sh *.sql

스크립트가 완성되면, 원하던 문자열이 대체되어 있을 것이고, tmp.old 라는
디렉토리 이름이 붙은 파일이 남게 될 것이다. 이 파일은 수정된 파일의 원 버
전이다.

수백 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라클 값을 검사하는 스크립트

모든 데이터베이스에서, 심지어는 서버가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 바로
SQL*Plus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유닉스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왔
다. 내가 아는 한 매니저는 가게에 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디폴트 최
적화 모드를 알고 싶어했다. 그 가게에는 30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150개
의 데이터베이스가 있었다. 그는 이틀 안에 이 일을 끝내라고 했는데, 내가 10
분 안에 정확한 답을 말하자 크게 놀랐다. 그때 이용한 것이 바로 이 스크립트
이다.
# Loop through each host name . . .
for host in `cat ~oracle/.rhosts|
cut -d"." -f1|awk '{print $1}'|sort -u`
do
echo " "
echo "************************"
echo "$host"
echo "************************"
# loop from database to database
for db in `cat /etc/oratab|egrep ':N|:Y'|
grep -v *|grep ${db}|cut -f1 -d':'"`
do
home=`rsh $host "cat /etc/oratab|egrep ':N|:Y'|
grep -v *|grep ${db}|cut -f2 -d':'"`
echo "************************"
echo "database is $db"
echo "************************"
rsh $host "
ORACLE_SID=${db}; export ORACLE_SID;
ORACLE_HOME=${home}; export ORACLE_HOME;
${home}/bin/sqlplus -s /<
set pages 9999;
set heading off;
select value from v"""$"parameter
where name='optimizer_mode';
exit
!"
done
done



이 스크립트를 사용할 때에는 유닉스 원격 쉘(rsh)이 필요하다. 이 유닉스
rsh 를 이용하면 서버들 사이에서 빨리 옮겨 다닐 수 있다. 자신의 .rhosts 파
일에 엔트리를 만들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스크립트가 시스템에서 .rhosts 파
일에 정의된 서버 이름을 통해서 반복되고, 각 서버의 /etc/oratab 파일에 리
스트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도 반복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값을 확인할 때, 그리고 SQL*Plus 스크립트를 운영할 때 이 스크
립트를 이용하면 된다. 자신의 엔터프라이즈에 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대
한 사용자 리포트, 수행 통계, 정보량 등을 빨리 받아 볼 수 있다. 이 스크립
트를 변형시키면 오라클 디렉토리에서 쓸모 없는 파일을 지울 수도 있고, 재실
행 로그 파일시스템 아카이브의 빈 공간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같은 명령을 실행해서 반복적인 일을 수행하는
데 드는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었다.

오라클 환경을 변화시키는 빠른 방법

큰 가게에서 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곤란한 문제 한가지는 오라클 환경을 빨
리 변환시켜야 할 때이다. 모든 사람이 각자의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서버들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기억하기도 힘들어 보인다. 서버가 다른 오라
클 버전을 운영하고 있다면 문제는 더욱 해결하기 힘들어 진다.

이럴 때 나는 모든 서버에 표준 .profile 스크립트를 설치한다. 내가 서버에
신호를 보내면 .profile이 실행하고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얼라이어스를
자동으로 만들어 낸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Oracle SID의 이름과 같다. 유닉스
프롬프트에서 Oracle SID를 입력하면, 전체 유닉스 환경이 새로운 데이터베이
스용으로 바뀐다. 다음에 나오는 코드는 내 .profile 파일에 만들어 놓은 것이
다.
for DB in `cat /etc/oratab|grep -v #|grep -v *|cut -d":" -f1`
do
alias $DB='export ORAENV_ASK=NO;
export ORACLE_SID='$DB';
. $TEMPHOME/bin/oraenv;
export ORACLE_HOME;
export ORACLE_BASE=
`echo $ORACLE_HOME | sed -e 's:/product/.*::g'`;
export DBA=$ORACLE_BASE/admin;
export SCRIPT_HOME=$DBA/scripts;
export PATH=$PATH:$SCRIPT_HOME;
export LIB_PATH=$ORACLE_HOME/lib64:$ORACLE_HOME/lib '
done



이제부터는 PROD 데이터베이스로 환경을 바꾸고 싶을 때, 단지 유닉스 명령 프
롬프트에서 PROD라는 명령만 입력하면 된다.

솔라리스에선 /etc에서 /var/opt/oracle까지 oratab 디렉토리 이름을 변환시
켜 주어야 한다.

유용한 유닉스 얼라이어스 패키지

새벽 3시에 제품에 이상이 있다는 호출을 받는다면, 모든 오라클 경고 로그 파
일과 쓸모 없는 파일 디렉토리가 어디에 있는지 기억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럴
때 일을 단순하고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나는 항상 내 유닉스 .profile
파일에 표준 얼라이어스 목록을 만들어 놓는다. 예를 들면:
# Aliases
#
alias alert='tail -100
$DBA/$ORACLE_SID/bdump/alert_$ORACLE_SID.log|more'
alias arch='cd $DBA/$ORACLE_SID/arch'
alias bdump='cd $DBA/$ORACLE_SID/bdump'
alias cdump='cd $DBA/$ORACLE_SID/cdump'
alias pfile='cd $DBA/$ORACLE_SID/pfile'
alias rm='rm -i'
alias sid='env|grep ORACLE_SID'
alias admin='cd $DBA/admin'



이 얼라이어스를 이용하면 긴 명령어를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고 얼
라이어스는 다음에 나오는 긴 명령을 의미한다.

tail -100 $DBA/$ORACLE_SID/bdump/alert_$ORACLE_SID.log|more

이 얼라이어스를 이용해서 유닉스 프롬프트에서 경고를 입력하기만 하면 오라
클 경고 로그에 있는 가장 최근 엔트리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아카이브를 입력
하면 오라클 아카이브 재실행 로그 디렉토리의 위치로 갈 수 있다.

서버 통계를 오라클 테이블에 저장할 때 사용하는 스크립트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튜닝할 때 수행 문제가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를 알아야 한다. 수행 문제가 발생하면 유닉스
vmstat 명령으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알아내어 mon_vmstats라는 오라클 테이블
에 서버 메트릭스를 저장하는 스크립트를 만든다. 바로 이것이다:
#!/bin/ksh

# First, we must set the environment . . . .
ORACLE_SID=BURLESON
export ORACLE_SID
ORACLE_HOME=`cat /etc/oratab|
grep ^$ORACLE_SID:|cut -f2 -d':'`
export ORACLE_HOME
PATH=$ORACLE_HOME/bin:$PATH
export PATH
MON=`echo ~oracle/mon`
export MON

SERVER_NAME=`uname -a|awk '{print $2}'`
typeset -u SERVER_NAME
export SERVER_NAME

# sample every five minutes (300 seconds) . . . .
SAMPLE_TIME=300

while true
do
vmstat ${SAMPLE_TIME} 2 > /tmp/msg$$

# This script is intended to run starting at
# 7:00 AM EST Until midnight EST
cat /tmp/msg$$|sed 1,4d | awk '{
printf("%s %s %s %s %s %s %s
", $1, $6, $7,
$14, $15, $16, $17) }' | while read RUNQUE
PAGE_IN PAGE_OUT USER_CPU SYSTEM_CPU
IDLE_CPU WAIT_CPU
do

$ORACLE_HOME/bin/sqlplus -s / <
insert into mon_vmstats values (
sysdate,
$SAMPLE_TIME,
'$SERVER_NAME',
$RUNQUE,
$PAGE_IN,
$PAGE_OUT,
$USER_CPU,
$SYSTEM_CPU,
$IDLE_CPU,
$WAIT_CPU
);
EXIT
EOF
done
done

rm /tmp/msg$$


이 스크립트는 5분간의 경과 시간동안 vmstat 유틸리티를 작동시켜
mon_vmstat 테이블에 있는 정보를 저장한다. 테이블에 있는 정보에서 서버 수
행 통계를 뽑아 내어, 훌륭한 서버 수행 그래프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마
이크로소프트 엑셀에 데이터를 복사해서 붙이기를 하면 다음에 있는 페이지 활
성화 그래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 그래프를 보면 몇 달에 걸쳐 세 번의
다른 시간대 간격의 페이지 활성화 그래프를 알 수 있다.

위의 스크립트는 내가 쓴 Unix for Oracle DBAs Pocket Reference에서 시간을
절약해 주는 몇 가지만을 나열한 것이다. 유닉스의 위력은 실로 대단하며, 이
유닉스의 위력으로 자신의 일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다.

2005년 1월 12일 수요일

XA error: XAER_RMERR : A resource manager error has occur

java.sql.SQLException: XA error: XAER_RMERR :
A resource manager error has occured in the transaction branc
h start() failed on resource 'xxxXAPool':


진행중인 플젝에서 WL8.1&OARCLE9i로 Datasource(일반 Datasource,XaDatasource)를 사용하고 있다.
검증 환경이 여러 군데라 동일한 설정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설정해주는 회사가 다를 정도니..)
동일한 모듈을 검증하고 있는데 위와 같은 Error가 발생했다.

http://support.bea.com/application?namespace=askbea&origin=ask_bea_answer.jsp&event=link.view_answer_page_clfydoc&answerpage=solution&page=wls%2FS-20733.htm

2005년 1월 10일 월요일

테이블 스페이스의 데이터 파일과 테이블 스페이스의 크기 확인

오라클 클럽에서

테이블스페이스 정보보기

테이블 스페이스의 데이터 파일과 테이블 스페이스의 크기 확인

DBA_DATA_FILES 데이터 사전을 이용 하면 됩니다.

SQL>
COL FILE_NAME FORMAT A40
COL TABLESPACE_NAME FORMAT A15

SELECT file_name, tablespace_name, bytes, status FROM DBA_DATA_FILES;

FILE_NAME T ABLESPACE_NAME BYTES STATUS
------------------------------------- --------------- ------------ ------------
C:ORACLEORADATAORACLESYSTEM01.DBF SYSTEM 248250368 AVAILABLE
C:ORACLEORADATAORACLERBS01.DBF RBS 545259520 AVAILABLE
C:ORACLEORADATAORACLEUSERS01.DBF USERS 113246208 AVAILABLE
C:ORACLEORADATAORACLETEMP01.DBF TEMP 75497472 AVAILABLE
C:ORACLEORADATAORACLETOOLS01.DBF TOOLS 12582912 AVAILABLE
C:ORACLEORADATAORACLEINDX01.DBF INDX 60817408 AVAILABLE
C:ORACLEORADATAORACLEDR01.DBF DRSYS 92274688 AVAILABLE

◎ FILE_NAME : DATAFILE의 물리적인 위치와 파일명을 알 수 있습니다.
◎ TABLESPACE_NAME : 테이블 스페이스의 이름을 알 수 있습니다.
◎ BYTES : 테이블 스페이스의 크기를 알수 있습니다.
◎ STATUS : 테이블 스페이스의 이용 가능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테이블 스페이스별 사용 가능한 공간의 확인

DBA_FREE_SPACE 데이터 사전


SQL> SELECT tablespace_name, SUM(bytes), MAX(bytes)
FROM DBA_FREE_SPACE
GROUP BY tablespace_name


TABLESPACE_NAME SUM(BYTES) MAX(BYTES)
--------------- ---------- ----------
DRSYS 88268800 88268800
INDX 60809216 60809216
RBS 524279808 498589696
SYSTEM 65536 65536
TEMP 75489280 74244096
TOOLS 12574720 12574720
USERS 113238016 113238016


◎ SUM을 사용한 이유는하나의 테이블 스페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여유공간을 합한 것이며,
◎ MAX를 사용한 이유는 여유 공간중 가장 큰 공간의 SIZE를 의미 합니다.




데이타 화일에 대한 총 크기와 남아있는 공간, 사용한 용량, 남은 %율

DBA_FREE_SPACE, DBA_DATA_FILES 데이터 사전

SQL>
COL FILE_NAME FORMAT A40
COL TABLESPACE_NAME FORMAT A30
SET LINESIZE 150
SELECT b.file_name "FILE_NAME", -- DataFile Name
b.tablespace_name "TABLESPACE_NAME", -- TableSpace Name
b.bytes / 1024 "TOTAL SIZE(KB)", -- 총 Bytes
((b.bytes - sum(nvl(a.bytes,0)))) / 1024 "USED(KB)", -- 사용한 용량
(sum(nvl(a.bytes,0))) / 1024 "FREE SIZE(KB)", -- 남은 용량
(sum(nvl(a.bytes,0)) / (b.bytes)) * 100 "FREE %" -- 남은 %
FROM DBA_FREE_SPACE a, DBA_DATA_FILES b
WHERE a.file_id(+) = b.file_id
GROUP BY b.tablespace_name, b.file_name, b.bytes
ORDER BY b.tablespace_name


FILE_NAME TABLESPACE_NAME TOTAL SIZE(KB) USED(KB) FREE SIZE(KB) FREE %
------------------------------------- --------------- -------------- ------------- ------------- ----------
C:ORACLEORADATAORACLEDR01.DBF DRSYS 90112 3912 86200 95.6587358
C:ORACLEORADATAORACLEINDX01.DBF INDX 59392 8 59384 99.9865302
C:ORACLEORADATAORACLERBS01.DBF RBS 532480 20488 511992 96.1523438
C:ORACLEORADATAORACLETEMP01.DBF TEMP 73728 8 73720 99.9891493
C:ORACLEORADATAORACLETOOLS01.DBF TOOLS 12288 8 12280 99.9348958
C:ORACLEORADATAORACLEUSERS01.DBF USERS 110592 8 110584 99.9927662

2005년 1월 5일 수요일

oracle export import option

//-------------------
//table 설정 export
//-------------------
set ORACLE_SID=SP

exp system/manager@sp file=c:expXXXS010TB.dmp log=c:explogXXXS010TB.log tables=XXX_XXX.XXXS010TB direct=y

//-------------------
//user설정 export
//-------------------
set ORACLE_SID=SP

exp system/manager@sp file=c:expXXX_XXX.dmp log=c:explogXXXX001TB.log owner=XXX_XXX direct=y

//-------------------
// import
//-------------------
set ORACLE_SID=SP

imp system/manager@sp file=c:expXXXS010TB.dmp log=c:explogXXXS010TB.log ignore=y fromuser=XXX_XXX touser=XXX_XXX rows=y indexes=y

2005년 1월 4일 화요일

gzlog Shell

Shell 끝부분에 추가 해주면 로그 파일을 년월일시간형식으로
gz로 압축해 주는 쉘

기존 쉘에 추가부분

if [ -x $USR_HOME/shell/gzlog.sh -o -x $USR_HOME/shell/gzlog.sh ];then
echo "#####XXXR0100J_LOG FILECOPY START#####" >> ${LOG} 2>&1
TRACE_JOB_COMMAND=$USR_HOME/shell/gzlog.sh
$TRACE_JOB_COMMAND /apl/xxx/log/XXXR0100J.log XXXR0100J_LOG
echo "#####XXXR0100J_LOG FILECOPY END#####" >> ${LOG} 2>&1
else
echo "NOT FOUND gzlog.sh !!"
fi

///////////////////////////////////////////////////////////

gzlog.sh 부분

#!/usr/bin/ksh

SAMPLESHHOME=/apl/xxx
LOG=${SAMPLESHHOME}/log/xxxR0100.log
LOG_FILE_NAME=$1
LOG_FILE_DIR=$2

echo "#####設定完了#####" >> ${LOG} 2>&1

FILE_TIME=`date +%y%m%d%H%M%S`.log
echo "FileName 取得" >> ${LOG} 2>&1

#gzip -d /apl/xxx/log/${LOG_FILE_DIR}/${LOG_FILE_DIR}.log.gz
#rm /apl/xxx/log/${LOG_FILE_DIR}/${LOG_FILE_DIR}.log.gz

cp $LOG_FILE_NAME /apl/xxx/log/${LOG_FILE_DIR}/${FILE_TIME}
echo "FileName COPY" >> ${LOG} 2>&1

gzip /apl/xxx/log/${LOG_FILE_DIR}/*.log
echo "File ZIP" >> ${LOG} 2>&1

#rm /apl/xxx/log/${LOG_FILE_DIR}/${FILE_TIME}
exit 0

init.ora parameter

OracleClub.com 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위 8개 INIT.ORA 파라미터
=========================================================

Technical Bulletins No. 17104 (http://211.106.111.2:8880/bulletin/list.jsp)

PURPOSE -------
이 문서는 init.ora의 어떠한 parameter들이 database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Explanation -----------
다음에 열거된 파리미터는 각각 데이터베이스 튜닝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다.


DB_BLOCK_BUFFERS
SHARED_POOL_SIZE
SORT_AREA_SIZE
DBWR_IO_SLAVES
ROLLBACK_SEGMENTS
SORT_AREA_RETAINED_SIZE
DB_BLOCK_LRU_EXTENDED_STATISTICS
SHARED_POOL_RESERVE_SIZE



1. DB_BLOCK_BUFFERS

이 파라미터는 모든 버젼의 오라클에서 사용되며, Oracle block 크기를 단위로 지정하게 된다.
이 값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메모리 영역에 저장해 둘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지정하므로 튜닝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db_block_buffers 값은 SGA 캐쉬 영역에 존재하는 버퍼의 갯수를 지정 하는데 사용되며,
적절한 캐쉬 크기는 실제 디스크 I/O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캐쉬 영역이 적절하게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는 buffer cache hit ratio로 측정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90% 이상의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uffer cache hit ratio는 다음 SQL을 사용하여 조회 가능하다.

SELECT ROUND(((1-(SUM(DECODE(name, 'physical reads', value,0))/
(SUM(DECODE(name, 'db block gets', value,0))+
(SUM(DECODE(name, 'consistent gets', value, 0))))))*100),2) || '%' "Buffer Cache Hit Ratio"
FROM V$SYSSTAT;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Buffer Cache Hit Ratio:
97.63%


만약 hit ratio가 90% 미만이라면,
hit ratio 가 90%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buffer cache의 크기를 늘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이 작을 경우 사용된 데이터가,
다른 데이터를 처리할 메모리 영역을 확보시키기 위해 메모리에서 삭제된 후,
다시해당 데이터가 요청될 경우 충분한 cache를 확보하였을 때
피할 수 있는 물리 I/O 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이 값을 가용한 메모리 크기에 비해 너무 크게 지정할 경우에는
OS 에서 swapping이 발생하게 되어 시스템이 hang 상태까지 갈 수 있다.




2. SHARED_POOL_SIZE


SHARED_POOL_SIZE는 모든 버젼의 오라클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로, 단위는 byte 단위이다.

이 영역은 data dictionary나, stored procedure, 그리고 각종 SQL statement가 저장된다.

SGA 영역가운데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shared_pool_size는 다시 dictionary cache
및 library cache 영역으로 나뉘어 지며,
db_block_buffers와 마찬가지로 너무 크거나, 작게 잡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SHARED_POOL_SIZE 값이 적절한지 여부는 data dictionary cache 및
library cache 의 hitratio로 측정할 수 있다.

SQL 처리에는 data dictionary가 여러차례 참조되므로,
data dictionary 조회시 디스크 I/O가 적게 발생하도록 하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Data dictionary cache hit ratio는 다음 SQL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SELECT (1-(SUM(getmisses)/SUM(gets))) * 100 "Hit Ratio"
FROM V$ROWCACHE;

결과는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Hit Ratio
95.40%



Data dictionary cache hit ratio는 9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인스턴스 구동 직후에는 캐쉬영역에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대략 85% 가량을 유지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brary cahce 영역은 공유 SQL 영역 및 PL/SQL 영역으로 나뉘어 진다.
SQL이 실행될 경우,
문장은 먼저 parsing 되어야 하는데, library cache는 SQL 및 PL/SQL을 미리 저장해 두어,
실제 parsing이 발생하는 빈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OLTP 업무의 경우, 동일한 SQL이 여러차례 수행되므로
적절한 cache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물론 bind variable을 사용하여야만 공유가능한 SQL이 생성된다.

SHARED_POOL_SIZE 값이 적을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너무 이 값을 크게 지정해도 문제가 된다. SHARED_POOL_SIZE가 너무 클 경우,
새로운 SQL 수행시 가용한 메모리 영역을 찾아 내기 위한 latch contention 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V$SGASTAT을 조회하여 free memory를 조사할 수 있으며,
메모리가 낭비되고 있는지 여부도 확인 가능하다.

SELECT name, bytes/1024/1024 "Size in MB"
FROM V$SGASTAT
WHERE name='free memory';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NAME Size in MB
Free memory 39.6002884

이 결과는 shared pool에 39M 공간이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만약 shared pool의 크기를 70M 로 지정하였다면,
절반 이상의 메모리 공간이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SORT_AREA_SIZE


SORT_AREA_SIZE에 대해서는 흔히 잘못된 이해를 하게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 값이 모든 사용자들이
sort 작업에 사용하게 되는 공용 메모리 영역의 크기로 이해를 하는데,
실제로는 사용자 프로세스 별로 사용하게 되는 sort 영역의 크기를 나타낸다.
앞에서 살펴본 두개의 파라미터와 달리, SORT_AREA_SIZE는 SGA영역에 속하지 않는다.

만약 sort_area_size 값이 너무 작다면,
sort 작업 대부분이 사용자의 temporary tablespace에서 디스크를 사용하여 이루어 지게 된다.

SQL 처리시 order by 나, group by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sort 작업이 발생하나.
index 생성등에도 sort가 발생한다.


메모리 sort는 디스크 sort에 비해 훨씬 좋은 성능을 보이므로,
지속적으로 SORT_AREA_SIZE 값을 모니터하여 튜닝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 값을 너무 크게 지정할 경우,
swapping이 발생하면서 시스템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 SORT_AREA_SIZE는 세션별로도 지정가능하며, 지정하기 위해서는
ALTER SESSION 권한이 있어야 한다. 특정 세션에서 시스템상의
모든 메모리를 사용하도록 할 경우 시스템 성능이 급격히 저하
될 수도 있다.



4. DBWR_IO_SLAVES

DBWR_IO_SLAVES는 SORT_AREA_SIZE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이 흔히 잘못 이해하는 파라미터로,
Oracle 8 이후 버젼에서 사용된다.

이 파라미터는 Oracle 8 이전에 사용되던 DB_WRITERS 파라미터를 대체한다.
Oracle 8에서는 DB_WRITER_PROCESSES 라는 파라미터가 DB_WRITERS를 대체하지만,
DBWR_IO_SLAVES 파라미터와 함께 사용할 경우 아직까지도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DBWR_IO_SLAVES는 slave writer process가 - OS에서 지원할 경우 -
asynchronous I/O를 수행하도록 허용한다.

DB_WRITERS 및 DBWR_IO_SLAVES 관련 자료는 METALINK에 많이 올라와 있으며,
DB_WRITERS 와 DBWR_IO_SLAVES 는 동시에 사용하 지 못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참조



5. ROLLBACK_SEGMENTS

이 파라미터는 모든 버젼의 오라클에서 사용되며,
인스턴스 기동중에 온라인 상태로 사용할 rollback segment를 지정한다.
만약 파라미터에서 지정한 rollback segment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ora-1534 에러가 발생하며,
데이터베이스는 mount까지만 되고 open 되 지는 않는다.

Rollback segment는 트랜잭션에서 발생하는 변경사항을 기록하여,
트랜잭션이 rollback 되어야 할 경우 이전 상태로 돌리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이다. - Windows 의 undo 기능과 유사함.

Rollback segment는 여러 extent들로 구성되는데,
extent는 round-robin 방식으로 순환되며 사용된다.
즉, 현재 사용되는 extent가 full이 나는 경우 다음 extent를 사용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Rollback segment는 read consistency를 제공해 주고, 트랜잭션을 undo 시킬수 있고,
recovery에 사용되는 등,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Read consistency는 업무적으로도 매우 중요한데, 한 사용자 (1번 사용자) 가 데이터를 읽는동안,
다른 사용자가 (2번 사용자) 그 데이터에 변경을 가한다면,
2번 사용자가 데이터 변경을 일관성 있게 종료하기 전가지 1번 사용자는 이전 상태의 데이터,
즉 이전에 commit 된 상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야만 데이터 일관성및 정합성이 보장된다.


RBS의 적정 크기는 다른 문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트랜잭션 레벨에 따라 다르다.
RBS extent의 크기와 관련해서는 오라클에서는
extent size와 관련된 (initial,next 값)권고 사항이 존재한다.

Rollback segment의 갯수와 관련해서는,
rollback segment간의 contention 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트랜잭션은 RBS의 헤더에 존재하는 트랜잭션 테이블에 정보가 저장된다.
모든 트랜잭션이 이 테이블의 내용을 변경하여야 하므로, contention이 발생할 수 있다.
한 시점에 한개의 트랜잭션이 한개의 rollback segment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다. 오라클에서는 4개의 트랜잭션당 한개의
rollback segment를 사용하는 것을 권고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상대적인 기준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rollback segment간 contention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v$waitstat을 조회하면 된다.
다음 query로 rollback segment간 contention을 조회해 볼 수 있다.


SELECT a. name, b.extents, b.rssize, b.xacts, b.waits,
b. gets, optsize, status
FROM V$ROLLNAME A, V$ROLLSTAT B
WHERE a.usn = b.usn;

실행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타난다.

NAME EXTENTS RSSIZE XACTS WAITS GETS OPTSIZE STATUS
SYSTEM 4 540672 1 0 51 ONLINE
RB1 2 10240000 0 0 427 10240000 ONLINE
RB2 2 10240000 1 0 425 10240000 ONLINE
RB3 2 10240000 1 0 422 10240000 ONLINE
RB4 2 10240000 0 0 421 10240000 ONLINE

위의 질의를 처리한 결과로 "xacts" ( 트랜잭션의 줄임말 ) 가 계속해서 1 이상이 경우,
rollback segment의 갯수를 늘려주는 것이 contention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여준다.
만약 wait 갯수가 0보다 크고, 특별한 사항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비슷한 상황이라면,
이 경우에도 rollback segment의 갯수를 늘려주는 편이 낫다.

* Rollback segment의 적정 갯수 도출관련 자료는 , 참조
* Rollback segment의 생성, 최적화 관련 자료는 , 참조



6. SORT_AREA_RETAINED_SIZE

init.ora 파일에서 지정하는 sort 작업 관련된 파라미터로 SORT_AREA_RETAINED_SIZE 도 있다.
이 값은 sort 가 끝난 후에도 유지하고자 하는 SORT_AREA_SIZE를 나타낸다.
이 파라미터는 SORT_AREA_SIZE 값과 같거나 적게 지정되어야 한다.

SORT_AREA_RETAINED_SIZE는 SORT_AREA_SIZE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값이 지정되어야 하는데,
소트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메모리 영역이 소트 작업이 끝난 후가 아니라 세션이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SORT_AREA_SIZE 값은 다른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에 가용한 실제 메모리 크기 이내에서 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SORT_AREA_SIZE 값은 65k 에서 1M 사이 에서 결정된다.



7. DB_BLOCK_LRU_EXTENDED_STATISTICS

Oracle 8i 부터는 사용되지 않는 파라미터로, SGA의 buffer cache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경우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각종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DB_BLOCK_BUFFERS 값을 바꾸어 시스템을 재 기동 시키지 않고도,
alter system 명령으로 buffer cache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해 주시만,
내부적으로는 DB_BLOCK_BUFFERS 값은 데이터 베이스 재 기동시에만 바뀔 수 있다.

통계정보는 X$KCBRBH 테이블에 저장된다.

이 값을 0 이상으로 지정하면 DB_BLOCK_BUFFERS 값을 추가하거나
혹은 추가한 것처럼 simulate 시킬 수 있다.

기능상으로는 튜닝에 많은 도움을 줄 것 처럼 보이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오라클에서는
production 환경에서는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8. SHARED_POOL_RESERVE_SIZE

sahred pool의 일정 부분을 larget object을 위해 할당하도록 지정하는 파라미터로,
기본적으로는 shared_pool_size의 5% 정도가 사용된다.
파라미터 값은 byte 단위로 지정한다.

이 파라미터를 지정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shared pool의 대부분의 영역이
large object에 의해 사용되지 않도록 하고,
large object는 별도의 영역에서 처리되도록 지정하는
것이 관건이다.



Reference Documents -------------------













- 김정식 [2004-11-11]
-- Current Hit Ratio
SELECT SUM(DECODE(Name, 'consistent gets',Value,0)) Consiste
nt,
SUM(DECODE(Name, 'db block gets',Value,0)) Dbblockget
s,
SUM(DECODE(Name, 'physical reads',Value,0)) Physrds,
ROUND(((SUM(DECODE(Name, 'consistent gets', Value, 0)
)+
SUM(DECODE(Name, 'db block gets', Value, 0)) -
SUM(DECODE(Name, 'physical reads', Value, 0)) )/
(SUM(DECODE(Name, 'consistent gets',Value,0))+
SUM(DECODE(Name, 'db block gets', Value, 0)))) *100,2
) Hitratio
FROM V$SYSSTAT;

ant eclipse memory parameter

set ANT_OPTS=-Xms128m -Xmx256m
D:eclipseeclipse.exe -vmargs -Xms256M -Xmx512M